본문 바로가기

MS/API

[API] WNetAddConnection2 NETRESOURCE rc; rc.dwScope = RESOURCE_GLOBALNET; rc.dwType = RESOURCETYPE_ANY; rc.dwDisplayType = RESOURCEDISPLAYTYPE_DIRECTORY; rc.dwUsage = RESOURCEUSAGE_CONNECTABLE; rc.lpComment = NULL; rc.lpLocalName = NULL; rc.lpProvider = NULL; rc.lpRemoteName = _T(\\192.168.0.0\Test); //연결 하기 WNetAddConnection2( &rc, 비밀번호, 아이디, CONNECT_UPDATE_RECENT) ) //연결 끊기 WNetCancelConnection2(nr.lpLocalName, CONNEC.. 더보기
[API] LogonUser 출처 : 네이버 리커버리님 블로그 BOOL LogonUser( LPTSTR lpszUsername, LPTSTR lpszDomain, LPTSTR lpszPassword, DWORD dwLogonType, DWORD dwLogonProvider, PHANDLE phToken ); 로컬 컴퓨터를 lpszUsername/lpszPassword를 가진 사용자로 로그인한다. 이 명령어는 원격 컴퓨터에 로그인할수는 없다. You can then use this token handle to impersonate the specified user or, in most cases, to create a process that runs in the context of the specified user. 형성된 phTok.. 더보기
use gdiplius api 출처 : http://www.winapi.co.kr/project/library/gdiplus/1-6.htm 이미지 가.이미지 클래스 GDI+의 큰 장점 중의 하나가 여러 가지 포맷의 그림 파일을 다룰 수 있다는 점이다. 이전의 GDI는 오로지 윈도우즈의 기본 이미지 포맷인 BMP 파일만 다룰 수 있어 무척 불편했다. BMP는 압축률이 좋지 않으며 이미지 용량이 너무 커서 부담없이 사용하기 어렵다. 웹, 디지털 카메라의 표준 포맷인 JPG을 출력해야 할 경우 LeadTools같은 별도의 상용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만 했다. 하지만 이런 불편함이 드디어 GDI+에 의해 말끔히 해결되었는데 JPG, GIF뿐만 아니라 TIFF, PNG 등의 자주 사용되는 그래픽 포맷을 모두 지원하므로 별도의 외부 라이브러리없이.. 더보기